칼럼 · 기고 트위터가 정치 공론장으로 변화하는 시대

[전병열 칼럼] 트위터가 정치 공론장으로 변화하는 시대

공유

트위터를 올바르게 이용함으로써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 사회를 정의롭게 견인하도록 활성화돼야 한다

이제 트위터는 정치 지도자가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권위주의 시대에는 감히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트위터를 통해 예사롭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트위터가 직접 민주주의를 초래할 기제가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치 지도자가 트위터의 다양한 팔로워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여론을 수렴하고 자신의 철학이나 정책을 알리고 있다. SNS 시대에 부응한 정치 시스템이 트위터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새롭게 부상하면서 정치 지형을 바꿔 놓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반작용에도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트위터(Twitter)는 140자 이내 단문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사이트다. twitter는 ‘지저귀다’는 뜻 그대로 재잘거리듯이 일상의 작은 얘기들을 짧게 올릴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다. 트위터는 관심 있는 사람들을 ‘팔로워(follower)’로 등록해 실시간으로 정보나 생각·취미·관심사 등을 공유한다. 페이스북 등과 달리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아도 팔로워로 등록할 수 있어 유명인사 등을 등록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트위터가 세계를 주목하게 만든 빅 이벤트는 북·미 정상의 비무장지대(DMZ) 만남이었다, 세계를 뒤흔든 이 빅뉴스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였다. 그는 G20 정상회의 마지막 날인 지난달 6월 29일 오전 일본 오사카에서 트위터에 글을 올려 “그곳에 있는 동안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것을 본다면, 나는 DMZ에서 그를 만나 악수하고 안부 인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이에 대해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5시간여 만인 29일 오후 담화를 통해 “흥미로운 제안”이라며 “분단의 선에서 조미 수뇌 상봉이 성사된다면 두 수뇌 분들의 친분관계를 더욱 깊이 하고 양국 관계 진전에서 또 하나의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화답해 세기의 만남이 성사됐다.

문재인 대통령도 29일 만찬사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 하나로 전 세계를 뒤흔들었다”며 “트위터 내용대로 성사되면 그야말로 역사적인 사건이 될 것이고, 성사되지 않는다 해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굉장한 성의를 보인 것이어서 그 자체로서 이미 큰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위터가 미국과 북한 양국 지도자의 직접 소통 창구가 됐으며, 트위터 정치의 위력을 나타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팔로워 수는 6,000여만 명으로 우리나라 남한 인구보다 많다.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도 SNS를 통해 국민들과 소통하며 국정운영을 하고 있으며, 문 대통령의 트위터 팔로워는 1,764만여 명이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트위터를 이용해 평화 메시지를 전하고 있으며 팔로워는 1,800여만 명이다.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도 380여만 명과 팔로워를 맺고 있으며, 인도의 모디 총리는 4,310여만 명의 팔로워로 활발한 트위터 정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트위터 정치의 역기능적인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가짜뉴스를 비롯해 댓글 조작, 음해·비방, 시스템의 공정성, 정보의 신뢰성, 익명성 등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의견에서 자신의 이념에 맞는 부분만 받아들이고 다른 의견을 배척하는 ‘확증 편향적’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지난 3월 한국을 방문한 ‘잭 도시’ 트위터 CEO는 “트위터가 정치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건 사실이다”며 “트위터는 여러분이 누구를 팔로워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특색이 있다. 트위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게 ‘트위터 정치’라고 생각한다. 누구를 팔로워하느냐에 따라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그는 “가짜뉴스는 우리가 당면한 1순위 문제”라며 “트위터가 많은 투자를 통해 빠르게 개선 중”이라고 밝혔다.

트위터를 올바르게 이용함으로써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 사회를 정의롭게 견인하도록 활성화돼야 한다. ‘트위터코리아’에 따르면 한국의 트위터 사용자 절반 정도가 10대(22%)~20대(26%)라고 한다. 자칫 트위터가 정치적 성향에 따라 공론장이 왜곡될 수도 있다는 것을 우려한다. 관련 법제의 정비는 물론 SNS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글 전병열 본지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