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판소리·굿, 남도소리의 세 갈래를 한 무대에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전통과 실험의 교차점

오는 6월 26일(목) 오후 7시 30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여성 국악인 3인이 선보이는 새로운 무대가 펼쳐진다. **‘삼부작(三部作) – 남도소리로 세 갈래의 작품을 그리다’**는 민요, 판소리, 굿이라는 전통 장르를 한데 아우르며, 남도소리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공연이다.
‘삼부작’은 오랜 기간 전통음악계에서 활동해 온 세 명의 여성 예술가가 결성한 단체로, 각기 다른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들이 모여 절제된 구성과 깊이 있는 예술성을 바탕으로 새 무대를 시도한다.
김나영(판소리), 김은수(거문고), 서은영(가야금) — 이들은 모두 국가무형유산 전승 교육을 기반으로 활동해온 예술가들이며, 남도 음악의 대가 이태백 문하에서 수년간 함께 호흡을 맞춰왔다.
전통의 정수, 실험적 구성
이번 공연은 남도 민요, 판소리, 진도씻김굿 등 지역적 정서와 서사를 대표하는 곡들을 엮어 구성되었다.
현악기와 타악기만으로 이루어진 절제된 반주는 노래의 결을 섬세하게 살려내며, 연주자들은 장르를 넘나드는 감정의 흐름을 음악으로 풀어낸다.
공연은 남도 민요로 시작된다. ‘달타령’, ‘봄노래’, ‘동해바다’는 슬픔을 넘어 다양한 정서를 담아내며, 남도 음악의 역설적 미감을 전한다. 이어지는 ‘적벽대전’ 대목에서는 각 악기가 극적 서사를 구현한다. 거문고는 바람을, 가야금은 불길 속 고통을, 판소리는 장수의 외침을 상징하며, 소리와 연기, 연출이 어우러진 총체적 예술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선보이는 **진도씻김굿 중 ‘제석거리’**는 의례성을 걷어내고, 악기 간의 교감으로 신과 인간의 소통을 시도하는 새로운 방식의 ‘씻김’ 무대를 제시한다.
여성의 목소리로 그리는 전통의 내일
‘삼부작(三婦作)’은 세 여성 예술가가 중심이 되어 기획한 첫 프로젝트로, 단발성이 아닌 지속 가능한 전통의 재해석을 목표로 한다. 이 공연은 전통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재적 언어로 풀어내는 도전을 담고 있으며, 앞으로 이어질 공연의 서막이기도 하다.
이번 무대에는 이태백(지도 및 구성), 김태영(타악), 윤중강(해설) 등 각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예술적 완성도를 더한다.
공연 정보 및 예매는 국립국악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연 안내 링크 바로가기